현대중공업이 11월 14일(수)부터 22일(목)까지 일본 시즈오카에서 열린 ‘제 39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서 금메달 3개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우리나라의 15번째 종합 우승을 이끌었습니다.
현대중공업은 총 9명의 직원이 출전해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 우수상 2개 등 전원 입상하며 ‘기술강국 한국’의 위용을 전 세계에 과시했습니다.
현대중공업은 용접직종에서 김형준 씨(21세)가 우승을 차지하며 이 분야에서만 5년 연속 금메달을 획득, 선박과 해양설비 등을 건조하며 쌓은 독보적인 기술력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습니다.
또한 배관직종의 이영신 씨(21세)와 판금직종의 정진환 씨(21세)도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고, 육현규(22세, 폴리메카닉스), 이명규(21세, CNC선반), 여혁동(20세, CNC밀링), 공민철 씨(21세, 옥내배선) 등은 은메달을 땄습니다.
이로써 현대중공업은 우리나라의 금메달 11개 중 3개, 은메달 10개 중 4개를 획득하며 종합 우승의 일등공신 역할을 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 2개 이상의 메달을 딴 기업은 현대중공업이 유일합니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대회 참가를 위해 지난 대회가 끝난 직후인 2005년 11월부터 약 2년간 출전 직원들이 훈련에만 매진할 수 있도록 시설과 기술지도는 물론 숙식 등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특히 현대중공업은 이례적으로 2년씩이나 맹훈련을 실시했는데, 이는 우리나라가 직전 대회인 2005년 핀란드대회에서 종합 6위에 그치며 자존심을 구겼기 때문입니다.
현대중공업은 우리나라 기술 자존심 회복을 위해 핀란드대회 직후 선수단을 재구성하고 사내 전문강사와 함께 하루 12시간 이상씩 땀방울을 흘렸습니다. 매일 오전 8시도 안 돼 시작되는 훈련은 밤 10시가 넘어서야 끝이 났고,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우리나라가 이번에 4년 만에 다시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관련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이번 대회의 선전을 통해 우리나라의 뛰어난 기술력을 세계에 알릴 수 있었으며, 현대중공업은 한국을 대표하는 국민기업의 위상을 보여준 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서 지금까지 금메달 40명을 포함 총 77명의 입상자를 배출한 바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11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6개, 우수상 13개를 획득하며, 종합 99점으로 개최국 일본(2위, 93점)과 스위스(3위, 63점) 등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게재신문 : 매일경제, 경상일보, 울산매일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