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조선소인 현대중공업은 그 덩치에 걸맞게 먹는 것도 엄청납니다.
현대중공업이 지난 한 해 사내 49곳 식당에서 4만여명의 임직원(사내 협력사 직원 포함)이 소비한 쌀은 80kg들이 2만2천57가마로 8톤 트럭으로 무려 250대 분량입니다.
여기다 육류는 소가 635마리, 돼지 2천514마리, 닭 20만9천967마리를 소비 했습니다. 생선 소비량도 엄청나 오징어 101.2톤, 갈치 103.5톤, 고등어 89톤을 먹었으며, 야채는 배추 1만2천포기와 무 50만개를 먹었습니다.
후식으로 나오는 요구르트는 연간 1천만개 이상 소비되는데 이 병을 일렬로 쌓으면 63빌딩(해발 264m)높이의 3배에 이릅니다.
또 가끔 후식으로 지급되는 사과는 한꺼번에 4만개, 6백여 상자나 필요합니다. 자매결연을 맺은 밀양시 동명마을이 사과 판매 부진으로 애를 태우자 마을에 남은 사과를 몽땅 구매해 주민들의 고민을 일시에 해결해 주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워낙 많은 양을 한 번에 소비하다 보니, 여름날 복날에 삼계탕을 만들 때는 인근지역의 닭이 동나고 현대자동차 등 인근 대기업과 메뉴가 겹칠 때는 재료를 충분히 구하지 못해 애를 태우기도 합니다.
현대중공업의 이런 식자재 대량 구매는 농어민들에게 큰 혜택이 되고 있는데, 5년 전부터 회사에서 소비하는 식자재 대부분을 국내산 및 회사 인근 지역에서 구매하기로 해 지역 농어민들의 소득 증대에 큰 보탬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과잉공급에 따른 수산물 가격 폭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국의 어민들을 돕기 위해 지난 2006년 5월 우럭 7.5톤(약 2만5천마리)을 구매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삼치, 가자미, 오징어, 전어 등 모두 일곱 차례에 걸쳐 수산물 단체급식을 실시, 양식 어민들의 시름을 덜어 주었습니다.
음식물 소비량은 식수인원과 비례하기 마련인데, 지난 한 해 동안 사내식당을 이용한 인원은 무려 1천267만여명으로 한 끼 식사를 준비하는 데에만 영양사, 조리사, 식당종사자 등 약 6백여명이 4시간 이상 비지땀을 흘려야 합니다.
현대중공업을 보면 대기업 하나가 국가 경제나 사회 발전에 얼마나 많은 기여를 하는지 잘 알 수가 있습니다.
▶ 게재신문 :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상일보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