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보도자료

HD현대중공업의 다양하고 생생한 소식을 빠르게 전해 드립니다.

국제핵융합실험로 진공용기 제작한다

현대중공업과 국가핵융합연구소의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진공용기 제작 계약식.

- 국가핵융합연구소(NFRI)와 대전 대덕단지서 15일 계약체결
- 7년간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진공용기 본체‧포트 제작, 납품
- 2007년 한국형 핵융합장치(KSTAR) 무결점 수행 높게 평가

현대중공업이 국제핵융합실험로(이하 ITER)의 핵심장치인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를 제작하게 됩니다.

현대중공업은 15일(금) 오전 11시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국가핵융합연구소(NFRI)에서 국가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현대중공업 이종삼 전무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ITER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제작에 대한 계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현대중공업은 2016년 12월말까지 향후 7년 동안 ITER 진공용기 본체의 9개 섹터 중 2개 섹터와 전체 53세트의 포트 중에서 35세트를 제작해 납품할 예정입니다. 

ITER 사업이란 한국, 미국, EU,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등 7개국이 핵융합에너지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해 공동으로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에 초대형 핵융합실험로를 건설·연구하는 사업으로, 2040년까지 총 112억 유로(14조원)가 투입될 예정입니다.

이 결과에 따라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장치를 이용한 전기 생산이 가능한지 판가름 나게 됩니다.

특히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진공용기는 86개의 ITER 조달 품목 중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납품되어야 하는 품목으로 적기에 조달되어야만 사업기간 내 성공적인 ITER 건설이 기대되는 핵심 부품입니다.

각 섹터는 높이 12m, 무게 400톤에 달하며 초저온과 초고온, 진공 압력 등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초정밀 용접 기술 등을 필요로 합니다.

현대중공업은 이미 2007년 인공태양의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된 한국형 핵융합연구장치(KSTAR) 개발에서 주 장치의 구조 설계, 섭씨 1억 도를 견뎌내는 핵심설비인 대형 초고진공용기 및 극저온용기를 제작한 바 있습니다.

당시 지름 9미터, 높이 10미터, 1천 톤짜리 대형 원통형 철강 구조물을 ‘무결함 용접’으로 완성해 내며 그 기술력을 크게 인정받았습니다.

현대중공업 이종삼 전무는 “이번 수주는 세계 1위 조선업체로서 40년 가까이 축적된 용접기술과 국내외를 선도하고 있는 플랜트 기술이 결합된 결과”라며 “ITER 진공용기의 성공적인 제작을 통해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에 우리 기술력을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습니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ITER 진공용기 제작을 통해 거대 구조물 제작 및 고정밀도 기술개발 등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기술 파급력이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선급(船級): 선급협회가 상선(商船)에 매기는 선박의 등급.
      배가 항해할 수 있다는 일종의 보증으로, 선박의 매매나 임대할 때의 평가기준이 된다.
 

▶ 게재신문 : 한국경제, 서울경제, 헤럴드경제, 서울신문, 경상일보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