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보도자료

HD현대중공업의 다양하고 생생한 소식을 빠르게 전해 드립니다.

극지형 LNG선 기술개발 나선다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13만 7천 입방미터(㎥)급 구형(球形) LNG선.

- 세계 첫 LNG 탱크용 알루미늄 극후판 용접기술 개발
- 지경부 국책과제, 2015년까지 총 190억원 투자 계획
- 북극해 가스 개발 앞두고, LNG선 시장 선점 효과 기대

현대중공업이 극지(極地)형 LNG선 및 LNG FPSO(부유식 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에 나섰습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지식경제부로부터 국책과제인 「초대형 알루미늄 극후판 LNG 탱크 제조 기술」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며, 세계 최초로 극지형 LNG선 탱크 용접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2015년까지 총 190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개발은 최근 북극해 등 극지에서의 천연가스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극지 운항에 적합한 LNG선 및 LNG FPSO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장기적인 판단에서 비롯됐습니다.

이번 개발의 핵심은 LNG선 탱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후판의 특성에 맞는 특수용접 시스템을 만드는 것. 특히 극지형 LNG선 탱크는 빙벽(氷壁)이 많은 지리적 특성상 알루미늄 후판의 두께가 기존 50mm에서 최대 70mm까지 증가한 극(極)후판이 사용돼, 초고난도의 용접기술이 요구됩니다.

현대중공업은 용접기와 용접캐리지 등 장비를 새로 개발해 용접작업의 핵심인 용착량((鎔着量, 용접 시 용접재료를 녹이는 양)을 분당 35g에서 60g으로 두 배 가까이 늘릴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용접속도는 빨라지고 결함은 크게 줄어, 용접 생산성이 기존보다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개발로 향후 북극해 천연가스 개발에 필요한 LNG선 및 LNG FPSO 수주에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북극해는 전 세계 가스 매장량의 30%인 440억 배럴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천연가스의 보고(寶庫)’입니다.

현대중공업 김대순 상무(산업기술연구소)는 “용접이라는 기초가 튼튼해야 좋은 품질의 선박이 나올 수 있다”며, “극지형 LNG선과 같이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켜, 새로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용접기술 개발을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994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LNG선을 건조한 이래 지금까지 총 37척의 LNG선을 건조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두 가지 타입(구형·멤브레인형)의 LNG선 건조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2003년 세계 최초로 플라즈마 자동용접기법을 LNG선 건조에 적용하고, 2007년 국내 최초로 전기추진방식 LNG선을 건조하는 등 이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해 오고 있습니다.

▶ 게재신문 :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 서울경제, 매일경제, 한겨레, 서울신문, 경상일보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