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세계에서 가장 먼저 국제핵융합실험로(이하 ITER)의 핵심장치인 진공용기 제작에 착수하며 최첨단 미래 에너지기술 선점에 나섰습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ITER(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국제기구로부터 일명 ‘인공태양’이라고 불리는 ITER의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제작에 대한 승인을 획득하고, 지난 1일(목)부터 울산 본사에서 본격 착수에 들어갔다고 밝혔습니다.
현대중공업이 이번에 제작하는 품목은 ITER 진공용기의 본체 9개 섹터(Sector) 가운데 기반이 되는 2개 섹터와 53개 포트(Port/진공용기 본체와 저온용기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 중 35개 포트로, 오는 2017년 말까지 제작을 완료해 핵융합실험로가 설치될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로 납품하게 됩니다.
특히, 이번 공사의 착수는 청정•무한 에너지로 미래 에너지원이 될 핵융합실험로 제작의 첫 걸음이어서, ITER 사업에 참여하는 한국과 EU, 미국 등 7개국을 비롯해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또 일단 제작이 시작되면 결함을 발견하는 것은 물론 수정에 어려움이 많아 설계, 구매, 시제품 제작 등 착수를 위한 준비단계에만 2년이 넘게 걸렸습니다.
핵융합실험로는 초고온에서 플라즈마를 생성시켜 태양에너지의 생성과정인 핵융합반응을 인공적으로 재현하는 장치로, 공동개발 7개국이 2019년까지 핵융합에너지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해 초대형 핵융합실험로 건설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중 진공용기는 완성 시 높이 11.3m, 외경 20m, 총 무게가 5천톤에 달하는 도넛 형태의 초대형 구조물로, ITER 장치 내에서 발생한 플라즈마를 밀폐하기 위해 진공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핵융합 반응에 의해 발생한 중성자의 일차 방호벽 역할을 하는 핵심장치입니다.
또한 영하 196℃의 극저온과 1억℃에 달하는 초고온, 초고진공 등을 견뎌야하고, 제작 과정에서 수 mm 이하의 정밀도와 두께가 20cm에 달하는 극후판 용접기술, 극후판 3차원 성형기술 등 높은 기술력이 요구됩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2007년 한국형 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대형 초고진공 용기와 극저온 용기를 제작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프로젝트도 성공적으로 완수할 것”이라며, “이번 핵융합실험로 사업이 성공할 경우 세계 핵융합발전 시장을 선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현대중공업은 지난 8월 ITER 프로젝트의 주요 부품 가운데 하나인 초전도 자석구조물(Toroidal Field Coil Structure)을 ITER 사업국인 일본으로부터 약 6천만 달러에 수주하는 등 핵융합 에너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ITER가 가동되면 바닷물을 연료로 500MW(메가와트) 이상의 초대용량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상용화가 가능한 2040년이면 에너지 고갈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0년 1월, 국제핵융합실험로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제작 프로젝트를 수주했습니다.
▶ 게재신문 :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 매일경제, 서울경제, 한겨레, 경상일보, 울산매일 外
※ 문 의 : 문화부 홍보팀 (T.052-202-22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