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선박 운항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한층 높인 ‘가스처리시스템’을 개발, 적용함으로써 고성능 LNG운반선 시장을 열었습니다.
‘가스처리시스템’은 현대중공업이 지난 2012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이중연료 패키지(이중연료 엔진, LNG 연료공급시스템)를 비롯해 BOG(증발가스/Boil Off Gas) 고압 압축기, BOG 액화 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LNG 저장 탱크에서 자연 기화된 가스(BOG)를 100%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증발가스 고압 압축기와 LNG 연료공급시스템(HI-GAS)이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돼 어느 한 시스템이 정상운영 되지 않더라도 증발가스를 100% 처리할 수 있는 것이 강점입니다.
현대중공업은 이 시스템을 오는 4월 착공, 2016년에 인도되는 노르웨이 크누센(Knutsen)사의 17만6천 입방미터급 초대형 LNG 운반선 2척에 적용할 예정입니다.
최근 건조되는 친환경 LNG 운반선은 디젤과 운항 중 생기는 증발가스(BOG)를 연료로 혼용하고 있어 증발가스 활용도가 선박 연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기존 LNG 운반선의 경우 운항 중 생기는 증발가스 중 일부를 태워서 선체 밖으로 내보내거나 재액화해 카고탱크에 저장해야 하는 등 증발가스를 100% 활용하지 못함으로써 연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현대중공업이 이번에 개발한 ‘가스처리시스템’은 증발가스를 100% 재액화 시켜 선박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연비를 대폭 높인 것은 물론, 대기오염물질인 황산화물(SOx)을 92%, 질소산화물(NOx)을 20%, 이산화탄소(CO₂)를 23% 가량 적게 배출해 친환경적이다. 또, 증발가스로 인해 발생하는 탱크의 압력 상승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어, 안전성도 확보했습니다.
실제, 이 시스템을 17만6천 입방미터급 LNG 운반선에 적용 시 연간 1천 600톤의 증발가스를 연료로 더 사용할 수 있게 돼 연간 약 100만불 이상의 연비 절감 효과가 기대됩니다.
특히 현대중공업은 증발가스를 100% 재액화 시킨 이 시스템뿐만 아니라 증발가스를 부분 재액화시킬 수 있는 ‘Hi-ERS’ 시스템도 자체개발해 세계적인 선급 인증기관인 노르웨이DNV-GL로부터 기본설계승인(AIP)을 받은 바 있다. 이를 통해 현대중공업은 선주사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습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최근 고연비, 친환경 선박 개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현대중공업이 개발한 시스템이 선주사로부터 인정받아 상용화된 것은 의미가 매우 크다”며 “앞으로도 꾸준한 고성능 시스템 개발로 수주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연비 절감 계산식
- 174K LNG운반선이 17노트의 속도로 미국-스페인을 운항했을 경우 가정.
- 편도 13일이 걸리며, 연간 10회 운항.
- BOG 일일 12.6톤 발생. 연간 1,600여톤 발생.(12.6톤X130일).
가스비 톤당 600불로 계산 시 연간 96,000톤 절약 (약 100만불 이상)
▶ 게재신문: 서울경제, 한국경제, 머니투데이, 파이낸셜뉴스, 서울신문, 경상일보, 울산매일, 울산신문, 울산제일